Feeds:
댓글

Archive for 1월, 2008

우리나라에는 아직 웹 접근성에 대한 컨설팅 기업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지만,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에는 많은 관련 기업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업체로는 WEBAIM, AbilityNet, WebCredible 등이 있습니다.

2008년 1월 WebCredible 에서 ’10 common errors when implementing accessibility‘이라는 짧은 글을 발표했습니다.

웹 접근성 구현시 손쉽게 범하는 10가지 오류

1) 대체 텍스트를 너무 장황하게 사용하지 말라

대체 텍스트 제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은 짧고(Short), 명확하게(Clear) 제시하는 것입니다.

너무 자세하고 장황한 설명은 부적절하다는 것을 꼭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2) 링크를 구분하기 위해서 무의미한 문자( ‘|’ 등)를 사용하지 말라

최근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지만, 링크를 구분하기 위해서 무의미한 문자들을 잘 못 사용하면 화면낭독 프로그램(Screen Reader)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함으로 이를 사용하지 말라는 것임

‘|’ –> 화면낭독 프로그램에서 Vertical Bar라고 읽어 혼란을 줄 수 있음

3) 빈 폼 필드에 텍스트를 넣지 말 것

화면낭독 프로그램 사용자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음

4) 단축키, 접근성 키(Access Key)를 사용하지 말라

단축키가 좋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운영체제(Operating Systems), 브라우저(Brower), 보조기기(Assistive Technology) 등에서 사용하는 단축키 들과 호환의 문제 등으로 인해 많은 문제를 야기합니다.

또한 단축키에 대한 국제적 표준 등이 없어 개별 웹 사이트에서마다 다른 단축키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들에게 보다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5) 테이블 요약(summary)을 적절하게 사용하라

표 등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웹 사이트의 모양이나 배치를 위해 사용하는 Layout Table에는 summary 등을 사용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6) 콘텐츠를 잊지말라

콘텐츠가 웹 사이트의 핵심이니, 콘텐츠에 사용하는 용어 등에 신경을 써야 하며 구조적인 태그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7) 웹 접근성 사명서(Web Accessibility Statement)에 너무 많은 집중을 하지 말라

웹 접근성 사명서 보다는 콘텐츠 제작에 더욱 많은 신경을 쓰라는 것으로, 실생활에서 우리가 매뉴얼을 잘 사용하지 않는 것처럼, 설명서를 많은 사용자들이 보지 않기 때문에 이를 너무나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지 말라는 것임

웹 접근성 사명서를 없애라는 것은 절대 아닌 것으로 생각됨

8) 두문자어나 축약에 너무 신경쓰지 마라

은 아직 화면낭독 프로그램에서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국내의 화면낭독 프로그램에서도 이러한 작업은 되지 않는다. 이에 너무나 많은 신경은 쓰지 말라는 것이다

그래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

또한 우리나라의 문제는 신문기사고 웹 페이지고 그냥 써버리는 영어 약자는 정말 문제가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무분별한 영문 약자는 사용하지 말고,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Full Name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9) Tab 순서를 변동하지 말라

키보드만으로 운영할 경우 Tab 순서는 매우 중요하다. 올바른 순서로 선형화된 웹 콘텐츠 제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10) 화면낭독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을 잊지 말라

웹 접근성 구현 후 화면낭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점검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광고

Read Full Post »

W3C에서는 기존의 웹 환경에서 벗어나 모바일 웹 환경에 대한 접근성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W3C 산하에 2005년부터모바일 웹 이니셔티브(MWI : The Mobile Web Initiative)을 두고 모바일 환경에서의 웹 사용을 위한 표준들을 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ETRI를 중심으로 모바일 웹 2.0 포럼을 구성하여 관련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W3C에서는 모바일 웹 이니셔티브(MWI)와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AI : Web Accessibility Initiatives)가 공동으로 모바일 환경에서의 장애인 등의 접근성 문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환으로 관련되는 문서들의 초안이 발표되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Web Content Accessibility and Mobile Web: Making a Web Site Accessible Both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for Mobile Devices, an introductory page

* Experiences Shar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by People Using Mobile Devices [Draft]

* Relationship Between Mobile Web Best Practices 1.0 and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First Public Working Draft

우리나라도 빨리 이런 작업들이 추진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Read Full Post »

2007년 12월에 Adobe, Microsoft, HP, Oracle 등 많은 IT 기업들과 보조기술 개발 업체들이 Accessibility Interoperability Alliance (AIA)라는 접근성 제고를 위한 기업 협력체를 구성하였습니다.

정말 부러운 뉴스입니다. AIA 사이트에 가 보시면 접근성과 관련된 많은 자료를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자료실에 가 보시면 기업들의 접근성 관련 웹 사이트, 백서(White Paper)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협의체의 첫 작품으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UI Automation을 개발하여 보급한다는 밝혔다.

* Zdnet 관련 기사 참고 : MS, 웹 접근성 제품 개발 지원 툴 UIA 새 버전 출시

** 본 기사에서 AIA를 잘 못 표시하고 있습니다. AIA는 Accessibility Interoperability Alliance 입니다.

우리나라의 IT 기업들도 하루 빨리 장애인, 노인 등을 고객으로 생각하고 이러한 활동을 하였으면 합니다.

조만간 이러한 모임들이 구성될 수 있도록 모두가 관심을 가져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Read Full Po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