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ds:
댓글

Archive for 3월, 2008

2007년말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 농어민의 인터넷 및 컴퓨터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국내 인터넷 관련 통계자료는 한국정보문화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등에서 발표되고 있습니다.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조사는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발표하는 것이 통계청에서 인정해 주는 정부 공식통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행정안전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요약

행정안전부(장관 원세훈)는 ‘07년9월~12월까지 전국의 일반국민 및 정보소외계층* 총 15,000명을 대상으로「2007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보소외계층의 정보화수준이 일반국민 대비 ’06년 62.0%에서 ‘07년 65.9%으로 전년 대비 3.9%p 개선되었으며, 처음 실태조사를 실시한 ’04년에 비해서는 20.9%p 개선되어 정보격차가 지속적으로 완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 “정보소외계층”은 장애인, 저소득, 장노년, 농어민 등을 말함
※ 정보격차지수(‘07년 34.1점) = { 일반국민 정보화수준(100) – 일반국민대비 정보소외계층 정보화수준(’07년 65.9) }

연도별 정보격차 추이

2007년 정보격차지수 관련 요약 보고서

광고

Read Full Post »

서울대 이상묵 교수의 사례로 장애인의 IT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보조공학, 보조기기가 장애인의 삶에 희망을 준다는 것입니다. IT가 기존 사회에서의 불편함을 없애주는 획기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시적인 사회의 관심이 되지 않도록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울대학교, 교수님이라는 사례가 아니라 우리와 보다 가까운 곳에 있는 장애인들의 사례도 많이 알려지기를 바라며 찾아보도록 노력해야 겠습니다.

매일경제(2008년 3월 21일) : 보조공학은 장애인에 희망을 주죠” – 이상묵 서울대 교수 장애인공단서 강연

이 교수는 전동 휠체어에 앉아 입으로 작동하는 마우스, 컴퓨터를 이용해 준비한 슬라이드 자료를 넘기며 강연했고 “컴퓨터와 보조기기들이 장애인의 활동 반경을 넓혀주고 직업 활동도 가능하게 해준다. 장애인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에 투자하면 장애인들이 사회에 더 많은 것을 돌려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대의 호킹’이상묵 교수는 요즘 … 장애인 ‘휴먼 네트워크’ 이끌어 [중앙일보]

Read Full Post »

행정안전부에서 지방세 고지서 발급시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 서비스 시범사업을 인천광역시에서 실시한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행정안전부지방세 고지서 시각장애인 음성안내 서비스 시범실시 개시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드디어 전자문서가 아닌 일반 문서 사용시에 장애인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가는 것 같습니다.

에이디정보통신에서 몇 년동안 고생한 노력이 드디어 하나씩 결실을 맺어가나 봅니다.

음성안내 서비스 제품소개를 참고하세요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전문
행정안전부 보도자료_지방세 고지서 시각장애인 음성안내 서비스 시범실시 개시

Read Full Post »

웹 접근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자료를 얻고자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에 지속적으로 웹 접근성에 관련된 웹 사이트를 정리해 볼려고 합니다.

1차 업데이트 : 2008년 3월 14일

1)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 : World Wide Web)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AI : Web Accessibility Initiatives) : http://www.w3.org/WAI/

웹 접근성 관련 표준, 평가도구 등 다양한 문서를 제공하고 있는 사이트로 웹 접근성 관련 자료를 찾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아야 할 사이트입니다.

1-1) 웹 접근성에 대한 소개(Introduction to Web Accessibility) : http://www.w3.org/WAI/intro/accessibility.php

1-2) 장애인의 웹 사용방법( How People with Disabilities Use the Web) : http://www.w3.org/WAI/EO/Drafts/PWD-Use-Web/#diff

1-3) 웹 접근성 관련 주요 구성요소(Essential Components of Web Accessibility) : http://www.w3.org/WAI/intro/components.php

1-4)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 1.0(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 http://www.w3.org/TR/WCAG10/

*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 1.0 한국어 번역 : http://gregshin.pe.kr/wcag/wai-pageauth.html

**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에 대한 체크포인트 목록 한국어 번역 : http://gregshin.pe.kr/wcag/checkpoint-list.html

1-5) 웹 저작도구 접근성 가이드라인 1.0(Authoring Tool Accessibility Guidelines 1.0) : http://www.w3.org/TR/ATAG10/

* 웹 저작도구 가이드라인 1.0 한국어 번역 : http://gregshin.pe.kr/atag10/

** 웹 저작 도구 접근성 지침 1.0의 체크포인트 목록 한국어 번역 : http://gregshin.pe.kr/atag10/atag10-chklist.html

1-6) 사용자 에이전트 접근성 가이드라인 1.0(User Ag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 http://www.w3.org/TR/UAAG10/

1-7) 전 세계 웹 접근성 평가도구 리스트 : http://www.w3.org/WAI/ER/tools/complete

1-8) 웹 접근성 관련 국가별 정책 소개 : http://www.w3.org/WAI/Policy/

2) 미국 재활법 508조 관련 정보 사이트(508조 포털)

2-1) 미국 재활법 508조 법률 : http://www.section508.gov/index.cfm?FuseAction=Content&ID=14

2-2) 미국 재활법 508조 웹 관련 접근성 지침 § 1194.22(§ 1194.22 Web-based intranet and internet information and applications) : http://www.section508.gov/index.cfm?FuseAction=Content&ID=12#Web

3)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 표준화 포럼 : http://www.iabf.or.kr/

한국정보문화진흥원(KADO)을 주축으로 국내의 정보통신 접근성 제고를 위해 운영하는 표준화 포럼 단체로 웹, 금융자동화기기, 휴대폰 등의 접근성 표준을 제정하고 있으며, 웹 접근성 관련 다양한 자료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3-1)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ICS.OT-10.0003, 2005년 12월) : http://www.iabf.or.kr/Pds/StandardView.asp?board=relatstand&pg=2&bseq=632&md=&sf=&ss=

2005년 12월 국가표준으로 제정된 웹 접근성 지침입니다. 본 표준은 W3C 표준과 재활법 508조 기준을 참고하여 작성된 것입니다.

3-2) 웹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기법 : http://www.iabf.or.kr/Pds/WalView.asp?board=wal&pg=3&bseq=2230&md=&sf=&ss=

웹 접근성 국내 표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다룬 문서입니다. 웹 개발자라면 반드시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3-3) 웹 접근성 평가방법 : http://www.iabf.or.kr/Pds/WalView.asp?board=wal&pg=1&bseq=2391&md=&sf=&ss=

국내 웹 접근성 지침의 평가 방법을 쉽게 풀어서 쓴 발표자료입니다.

3-4) 웹 접근성 자동 평가 도구 KADO-WAH 무료 다운로드 페이지 : http://www.iabf.or.kr/Lab/Kadowah/Kadowah.asp

* 웹 접근성 자동평가 도구는 웹 접근성 준수여부를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웹 접근성 준수여부는 자동평가도구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으며, 전문가 등의 정성적 평가가 반드시 필요함을 알려 드립니다.

3-5) 웹 접근성 자동평가 도구 A-Prompt 한국어버전 다운로드 페이지 : http://www.iabf.or.kr/Lab/Kadowah/Others.asp#method2

Read Full Post »

에이블뉴스에 김철환 활동가께서 작성하신 18대 총선과 장애인의 참정권 관련 기고문입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웹 사이트를 오늘 방문해 보니 원더걸스가 멋진 캠페인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단체나 활동가들에게 웹 접근성 준수에 대한 많은 지적을 받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알고 있는데, 메인 페이지 아니 인트로부터 웹 접근성 지침을 준수하지 않고 있습니다.

2008년 3월 12일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웹 사이트의 접근성 준수여부를 간단히 살펴본 결과,

키보드만으로 조작도 되지 않고, 동영상에 자막도 동기화되어 제공되지 않고(비장애인을 위한 흥미 유도성 자막만 제공됨), 이미지에 대해서는 대체 텍스트도 제공하지 않고, 플래시가 지원되지 않는 보조기기 등을 위해 대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 인트로 페이지에만 머물러야 하는 등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트로 페이지(2008년 3월 12일)

장애인의 참정권에 대한 개선이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위스콘신-메디슨 대학의 TRACE센터에서 전자 투표 접근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TRACE 센터의 Voting Accessibility에 방문하시면, 참정권과 관련하여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장애인도 국민의 기본권에서 차별받지 않는 세상이 하루빨리 왔으면 합니다 !!!!!

Read Full Post »

Firefox 3 개발에서 추진하는 웹 접근성 제고 방안 관련 설명자료입니다. 2008년 3월에 미국 LA에서 개최되는 CSUN 2008 세미나에서 활용될 자료라고 합니다.

Firefox 3는 추후 개발될 것으로 접근성 제고를 위해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 등을 실시할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빨리 다양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있는 보조기기가 개발되었으면 합니다.

Read Full Post »

국내 접근성 제고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시는 엑스비전테크놀러지 김정호 이사님이 2008년 3월 5일 디지털타임스에 우리 모두 읽을 수 있는 오픈 xml 이라는 제목으로 투고한 글입니다.

Read Full Post »

한겨레 신문에 “장애인 정보 접근권은 시혜 아닌 권리”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습니다.

장애인의 정보 접근권 제고를 위해 항상 힘쓰시는 김철환 활동가님께 이자리를 빌어 깊은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장애인 정보 접근권은 시혜가 아니라 권리라는 것입니다.

맡은 바 위치에서 하나만이라도 수정하고 노력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지 다시한번 생각해 봅니다.

Read Full Po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