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ds:
댓글

Archive for 5월, 2008

2008년 5월 23일 동아일보에 실린숙명여대 문형남 교수의 46개 중앙행정기관의 웹 사이트 평가에 대한 청와대의 해명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정말 발빠른 대응이며 약간 늦은 감은 있지만, 앞으로 웹 접근성 제고를 위해 노력해 주신다고 해서 정말 기쁘게 생각하며 꼭 지켜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청와대를 필두로 많은 공공기관 사이트들이 접근성을 준수하여 장애인도 장애에 구애없이 인터넷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해명자료 중 제가 이상하게 느낀 부문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려고 합니다.

해명자료에 따르면

웹접근성 지침을 반영하여 구축하게 되면 예산 및 작업 기간이 일반사이트의 2배이상 소요되므로 1차로 취임식엔 필수적인 코너들만 열기로 했습니다.

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이것은 혹시 웹 접근성에 대한 잘못된 오해를 일으키지 않을까 싶어 의견을 제시합니다. 2배 이상의 예산 및 작업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은 잘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웹 접근성 표준도 준수해야할 표준 중 하나이며, 특히 공공기관에서는 보다 많은 국민을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할 대상일 것입니다. 건축물에서 철근을 몇 mm 이상되는 것을 사용해야 하는 것 처럼 말입니다. 몇 mm 이상 쓸려면 비용이 많이 발생하겠지만, 이에 대해 비용이 더 드니깐 우리는 몇 mm 보다 얇은 것을 쓰겠다고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공공기관, 그것도 우리나라의 대표격인 청와대 웹 사이트가 표준 준수를 비용과 시간의 측면으로 보는 것은 조금 바람직해 보이지 않습니다. 철근과 달리 웹 사이트는 누가 기획하고 개발하는냐에 따라 비용과 시간이 달라진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물리적 공간에서는 규격의 차이로 비용 등 많은 것들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 가상의 공간인 웹 사이트 구축에 있어서는 원칙을 잘 이해하는 기획자와 개발자만 있으면 이를 준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청와대 웹 사이트를 조기에 발표하기 위해 다소 시간이 부족해서 많은 부문을 고려하지 못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가 지적하고 싶은 것은 예산 및 작업기간이 2배가 들어서 지키지 못하였다는 것은 조금 잘못 문제를 인식한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2배가 더 든다는 것은 누구의 판단인지요? 개발업체 아니면 청와대 웹 사이트 담당자님들의 생각이십니까? 제가 아는 분들은 2배라고 말씀하시지 않습니다. 또한 어떤 연구나 논문에서도 2배 이상 든다고 한 것은 제가 보지 못하였습니다. 아시는 분은 좀 알려 주십시요. 누가 기획하고 개발하는가가 중요한 결정사항일 것입니다.

즉, 초기 구축시 다른 중요한 사항들을 고려하다, 웹 접근성 지침이 우선순위에서 밀려 앞으로 수정하겠다는 것은 매우 훌륭한 말씀이라고 생각하지만, 이것이 시간과 비용의 2배나 더 들어 하지 못했다는 것은 처음의 개발업체 선정과 기획 단계에서 조금 잘못이 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무엇인가 더 지켜야 할 것이 있으면, 시간과 비용이 드는게 사실일 것입니다. 하지만, 웹 표준이라는 것, 다시 말해 원칙을 지키는 것에 대해 시간과 비용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야기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청와대 웹 사이트를 기획하시거나 개발하시는 분이 표준을 잘 알고 계신다면 이것은 시간과 비용의 문제가 아니라 개발할 때 당연히 지켜야 할 것이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라고 말씀하시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앞으로 청와대 웹 사이트를 장애인들도 자유롭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앞으로 멋진 웹 사이트가 개발될 수 있도록 우리모두 지켜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가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고치겠다는 것입니다. 청와대 웹 사이트 담당자 선생님들 힘내서 개발해 주십시요.

광고

Read Full Post »

숙명여대 문형남 교수님이 46개 중앙행정기관 웹 사이트를 대상으로 접근성과 사용성 부문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평가기준에 대한 자료를 보지 못하였습니다만, 웹 접근성에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져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2008년 5월 23일 동아일보에 ‘청와대 웹사이트도 소통부재’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중 접근성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청와대의 웹 사이트의 개선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기사발췌

최악 수준의 장애인 접근성도 문제다. 시각장애인이자 웹 접근성 전문가인 김정호 엑스비전테크놀로지 이사는 “부처 보도자료 등 몇몇을 제외하곤 시각장애인의 접근조차 불가능하다”며 고개를 가로저었다. 청와대 웹사이트는 키보드만으로는 조작이 불가능하고 동영상 자막도 전혀 없어 지체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이 사용하기에도 크게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Read Full Post »

웹 서핑을 하다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청각장애인이 운영하고 있는 웹 에이전시를 찾았습니다.

Deafvision이라는 곳입니다.

�각장애인이 운영하는 미� 웹 에이전시 Deafvision 소개 페이지

장애인들이 수혜의 대상만이 아니라 사회에서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일하는 기업들이 많이 생겨나기를 바랍니다. 특히 IT 기업에서 말이지요,,, 다른 영역에서는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IT 분야에서는 많이 없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경우, 시각장애인들이 운영하는 화면낭독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는 엑스비전 테크놀러지라는 회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다른 회사들도 있겠지만요…

다만,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의 정보격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장애유형이 청각장애인 입니다. 청각장애인들이 미적인 감각이 뛰어나 웹 디자인에서 큰 두각을 보일 수 있어 관련 교육들도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청각장애인 웹쇼핑몰 관리사 과정 등이 개발되어 교육되고 있습니다.

하루빨리 우리나라에서도 청각장애인들이 웹 접근성을 고려하여 멋진 웹 사이트를 개발하는 업체들이 만들어 졌으면 합니다.

Read Full Post »

제가 마이크로소프트에 아시는 분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어제 얻게 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독서 장애인, 즉 독서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모든 분들을 위해 조금 더 편리하게 문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지(DAISY)라는 포맷의 형태로 문서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보도자료 : Microsoft, DAISY Make Reading Easier for People With Print Disabilities

아마도 데이지라는 것에 대해 궁금해 하실 것 같습니다. 데이지(DAISY)란 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 이라는 것의 약자입니다. 데이지 컨소시엄이라는 곳에 가시면 관련되는 정보를 모두 얻으실 수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말씀 드리면 시각 장애인을 포함한 독서에 어려움이 있는 분들이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특정 형태의 포맷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데이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토모텍이라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정보 사이트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번의 MS 워드 탑재에 따라 이러한 특정 형태 포맷을 쉽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특정 포맷이니 현재까지는 특별한 기기가 있어야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기를 데이지 Player라고 합니다.

도표 등 복잡한 것들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공되고 있지 않지만, 획기적인 일이라고 생각하며 국내의 소프트웨어인 ‘한글’에서도 하루속히 이런 일들이 일어났으면 합니다.

또한 국내에서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보조기술 개발 지원 사업을 통해 개발된 토모텍이라는 기업에서 DAISY Player를 개발하였습니다.

이젠 보도자료도 동영상을 포함하여 제공하네요.. 관심 있으신 분은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데이지 관련 동영상을 둘러 보세요…

Read Full Post »

여러가지 웹 사이트를 대상으로 웹 접근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 정말 기쁩니다…

많은 분들의 노력으로 웹 접근성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중 사회적으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는 국회의원님들의 웹 사이트 평가라 더 관심이 갑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의원님들이 우리나라의 웹 사이트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데 앞장 서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발 더 이상 웹 사이트가 홍보물, 브로셔, 전단지가 아니라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의원님들의 의정 활동을 장애인을 포함한 국민들이 더욱 더 쉽게 살펴보고 의견을 개진하여 정말 멋진 선진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웹 사이트를 이용하면 어떨까요??

18대 의원님들의 웹 사이트 평가 결과 장애인-노약자 배려 크게 부족하다고 평가되었습니다. 낮은 것은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고 보다 신경을 써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의원님들의 사이트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니깐요?

동아일보 5월 5일자, 18대 국회의원 당선자 웹사이트 분석해보니…장애인-노약자 배려 크게 부족, “여론 듣기보다 업적 홍보 치중”, 문형남 교수 218곳 조사

Read Full Post »

미국의 통신사업자인 AT&T가 애플의 iPhone 새로운 모델 개발시 접근성을 노력하겠다는 발표를 했네요.

우리나라도 요즘 LG 텔레콤의 OZ 휴대폰과 풀 브라우징 등으로 모바일 환경에서의 웹이 정말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다만 미국처럼 어떤 기업이 이런 일들을 좀 해 주면 정말 좋을 텐데. 부럽습니다..

AT&T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Text Accessibility Plan (TAP)라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청각 및 언어장애인의 통신이용 보장을 위해 월 정액 40달러에 SMS 무제한 제공, 무제한 data(email and web) 서비스 이용 등을 제공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확대기능, 모바일 화면낭독 프로그램(Screen Reader)과의 호환성 등에 대한 부문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실시하겠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Ron Graham과 같은 몇 분들은 조금 더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하시네요.

국내와 달리 미국, 유럽 등에서는 모바일 기기용 화면낭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Code Factory라는 회사에서 개발된 것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통신사업자, 휴대폰 기기업자들도 이런 일들을 하는 날이 빨리 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자료
AT&T의 접근성 제고 노력 사이트

AT&T 접근성 관련 사이트 

 

Read Full Po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