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ds:
댓글

Archive for 7월, 2009

Flash, Flex, Sliverlight 등으로 대변되는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데, 어도비사에서 KnowbilityDoodleDoo라는 웹 접근성 컨설팅 업체와 공동으로 개발한 “Adobe Flash CS4 Professional accessibility”라는 튜토리얼을 오늘 보게 되었습니다.

짧지만 간단한 튜토리얼로 접근성에 대한 개념을 쉽게 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요 구성은 개요(Introduc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플래시 디자인, 키보드 접근성, 청각장애인을 위한 플래시 디자인, 참고자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광고

Read Full Post »

웹과 관련한 보안 문제가 사회적인 뜨거운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시점에서 정말 기분 좋은 소식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디지털타임스 7월 14일자에 ‘공인인증서 웹 접근성 높인다 – 정보보호진흥원, 가입자SW 실무지침 개발 배포’라는 제목으로 실린 기사를 접하였습니다.

사실 초반 과정에서 조그마한 도움을 드렸지만, 본 문서 개발에 많은 도움을 드리지 못한 점을 항상 마음의 짐으로 가지고 있던 과제였습니다.

본 연구을 위해 노력해 주신 충북대학교 김석일 교수님과 한국전자인증한국정보보호진흥원 관계자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 깊은 감사의 말씀 드리며, 많은 은행과 쇼핑업체 등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는 기관들이 접근성 있는 인증절차를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관련 지침, 국내 공인인증서의 접근성 준수 정도 등을 분석하여 만든 ‘공인인증서 가입자 S/W 장애인 웹 접근성 실무지침’을 개발하였습니다. 지침은 크게 7가지로 구성되었습니다.

1. 텍스트 화면 출력 :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는 보조기술로 제공되어야 한다, 텍스트 아닌 콘텐츠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2. 깜빡거림의 배제 : 깜빡거림 사용금지(1초에 3-49회 깜빡거림), 동영상 및 애니메이션은 정지 상태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3. 색깔의 사용 : 색깔만으로 정보 제공 금지, 전경색과 배경색간의 고대비, 가독성

4. 초점의 변화 : 초점이 주어지는 객체는 화면상에서 구별이 가능해야 한다

5. 키보드 제어 : 키보드 또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로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6. 시스템 안정성 유지 : 장비의 이상 현상 방자, 공인인증서가 보조기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7. 논리적 구성 : 논리적 순서 일지, 레이블 제공, 페이지 제목 제공

자세한 연구내용은 공인인증서 가입자 소프트웨어의 장애인 웹 접근성 강화 방안 연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많은 기관들이 접근성을 고려한 인증체계를 구축하는데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Read Full Po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