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ds:
댓글

Archive for 2월, 2015

2005년 가을 학기에 부푼 꿈을 안고 시작한 박사과정을 오늘 마치게 되었습니다. 10년이라는 세월이 지나고 보니 빠르게 지난 것 같습니다. 그 간 직장 동료들의 도움, 접근성과 관련되어 도움을 주신 많은 분들, 가족, 교수님 등 여러 많은 사람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오늘의 졸업은 없었을 것입니다.

저는 2002년에 한국정보문화센터에 입사해 11년간 웹 및 정보통신 접근성 관련 표준화, 연구, 인식 제고 등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배운 것을 토대로 부족하나마 이번에 웹 접근성 표준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함의에 관한 연구 – 웹 개발자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박사학위를 받게 되었습니다.

제 논문은 아래와 같이 2가지 연구 과제를 풀기 위해 시작하였습니다.
1)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웹 사이트는 얼마나 접근성 표준을 준수하고 있는가?
– 미국, 영국 등 선진국과 국내 웹 사이트의 접근성 준수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웹 사이트의 접근성 준수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 접근성 지침 중 가장 지켜지지 않고 있는 사항은 무엇인가?

2) 웹 개발자가 웹 접근성 표준을 준수하게 만드는 요인은 무엇인가?
– 웹 접근성을 준수한 콘텐츠 개발의 준수 태도와 준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은 무엇인가?
– 개인 및 조직의 특성에 따라 웹 접근성 태도 및 준수 의도가 달라지는가?
– 웹 접근성 표준 준수를 위해 노력하는 선도 기업(NHN, 다음카카오)들은 어떠한 활동들을 추진하고 있으며, 무엇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라 생각하고 있는가?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로는, 주요 항목의 자동평가 결과에서는 미국, 영국에 비해 우리나라 사이트들의 접근성 준수 수준이 높으며, 민간기업에 비해 공공기관의 준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웹 개발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조직적인 역량이나 지원 보다는 개인적 역량이나 인식 정도가 접근성 준수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본 논문이 나올 수 있도록 도와 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 드리며, 제 논문이 부족하나마 국내의 웹 접근성 제고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합니다.

광고

Read Full Po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