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ds:
댓글

Posts Tagged ‘마이크로소프트’

2010년 1월 12일 중앙일보에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김 제우스 우 대표이사가 “장애인이 쉽게 쓰는 IT 신기술 거대 시장에 장기 투자하는 것”이라는 기고를 하셨습니다. 장애인의 접근성이 비지니스의 기회를 가져올 수 있다는 좋은 지적입니다.

접근성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은 외국의 많은 기사 등에서 지적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잘 발표되지 않았던 글입니다.

(중략) 흥미로운 점은 접근성 보장에 대한 사회적 압력이 강해지면서 접근성 기술이 IT 산업의 신성장동력으로 부상한다는 것이다. (중략) 백악관 정책차관보를 역임한 강영우 박사는 “광의로 보면 미국 인구의 20%가 장애인이어서 미국은 IT의 엄청난 잠재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접근성을 비용(Cost)의 관점이 아니라 투자(Investment)로 인식을 전환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같은 노력을 한다고 하더라도 비용으로 보는 입장과 투자로 보는 입장에 따라 접근성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비용의 관점으로 바라볼 때에는 귀찮은 존재로 인식하지만, 투자로 볼 경우에는 미래의 잠재적인 시장에 대응하는 준비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접근성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 기업의 인식은 아직 부족하다. 접근성 준수를 비용으로만 인식하는 건 근시안적이다. 장기적으로 발생할 이익을 미처 헤아리지 못하는 우를 범하게 된다. 비용이 아닌 투자의 관점에서 접근성을 바라보는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 김 제임스 우

CNN에서도 얼마 전의 기사 ‘웹 접근성 더 이상 추가적인 것이 아니다 – CNN(Web accessibility no longer an afterthought)’를 살펴보면 접근성의 비지니스 기회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2010년에는 IT 접근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많은 새로운 기회가 발굴되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광고

Read Full Post »

제가 마이크로소프트에 아시는 분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어제 얻게 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독서 장애인, 즉 독서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모든 분들을 위해 조금 더 편리하게 문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지(DAISY)라는 포맷의 형태로 문서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보도자료 : Microsoft, DAISY Make Reading Easier for People With Print Disabilities

아마도 데이지라는 것에 대해 궁금해 하실 것 같습니다. 데이지(DAISY)란 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 이라는 것의 약자입니다. 데이지 컨소시엄이라는 곳에 가시면 관련되는 정보를 모두 얻으실 수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말씀 드리면 시각 장애인을 포함한 독서에 어려움이 있는 분들이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특정 형태의 포맷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데이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토모텍이라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정보 사이트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번의 MS 워드 탑재에 따라 이러한 특정 형태 포맷을 쉽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특정 포맷이니 현재까지는 특별한 기기가 있어야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기를 데이지 Player라고 합니다.

도표 등 복잡한 것들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공되고 있지 않지만, 획기적인 일이라고 생각하며 국내의 소프트웨어인 ‘한글’에서도 하루속히 이런 일들이 일어났으면 합니다.

또한 국내에서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보조기술 개발 지원 사업을 통해 개발된 토모텍이라는 기업에서 DAISY Player를 개발하였습니다.

이젠 보도자료도 동영상을 포함하여 제공하네요.. 관심 있으신 분은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데이지 관련 동영상을 둘러 보세요…

Read Full Post »

2008년 4월 8일 한국정보문화진흥원마이크로소프트간의 “접근성 랩” 설치를 위한 MOU 체결식이 개최되었습니다.

한�정보문화진흥원과 마이크로소프트 MOU 체결식

본 MOU를 통해 앞으로 접근성 관련 기술개발, 인식개선 등 다양한 활동을 상호 협력하에 추진할 것입니다.

본 연구소는 미국이외에는 처음으로 설립된 것임을 알려 드립니다. 미국에는 접근성 랩이 많이 있습니다.

국내의 접근성 제고 활동에 큰 활력소가 되기를 바랍니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 보도자료

한국정보문화진흥원 – 마이크로소프트와 MOU 체결
–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 IT분야 접근성 향상을 위한‘접근성 랩’ 설립 –

한국정보문화진흥원(원장 : 손연기, http://www.kado.or.kr)은 한국마이크로소프트(사장 : 유재성, http://www.microsoft.com/korea)와 4월 8일 서울 등촌동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접근성 랩’의 국내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접근성 랩’이 미국 이외 지역에 설치되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이 자리에는 방한 중인 마이크로소프트 최고운영책임자(COO) 케빈 터너(Kevin Turner) 사장도 참석했다.

‘접근성 랩’은 장애인, 어르신,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정보 활용을 위해 IT 접근성 솔루션을 개발하고 지원하는 곳으로, 한국정보문화진흥원과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접근성 랩’ 설치를 계기로 IT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보공유 및 공동 프로젝트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과 관련하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손연기 원장은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다양한 경험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첨단 기술이 만난데 의미가 있다”면서, “접근성 랩을 통해 우리나라 IT 분야 보조공학 관련 산업 발전은 물론 지구촌 정보격차를 해소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마이크로소프트 케빈 터너(Kevin Turner) 사장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마이크로소프트의 글로벌 상생과 협업을 통한 기술 혁신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 전제하고 “한국의 지식 경제 성장과 발전을 돕는 파트너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유재성 사장 또한 “접근성 랩의 국내 설치는 세계 IT산업을 선도하는 한국에서 성공한 접근성 모델은 세계적으로도 적용 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을 파트너로 선택한 것은 정보격차 및 접근성에 대한 전문성 때문”이라고 말했다.

Read Full Po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