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중심의 산업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산업을 탈바꿈하고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한 것 같습니다. 한국형 운영체제를 개발한다, 소프트웨어 강화를 위해 인문학적 사고가 있는 사람을 채용한다 등이 요즘 큰 화두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정보통신부 부활, 국책 소프트웨어 연구소 설립 등의 정책적 이슈도 화두가 되는 것 같다. 잘은 모르지만 소프트웨어의 중요성, 소프트웨어 인력의 육성 등의 정책은 지난 김대중 정부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고 있다. 컨트롤 타워가 없어서, 국가가 예산을 지원하지 않아서 그랬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문제이다.
지난 주에 LG 전자에서 근무하시던 한 연구원분께서 쓰신 LG전자를 떠나며 CEO에게 남긴 글이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 되었다. 이 짧은 글이 IT 인력,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을 힘쓰시는 분들이 꿈마저 잃게 만드는 4D로 전락하게 만든 사회적인 환경과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경종을 울리지 않았나 싶다.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많은 IT 전문가분들께서 여러가지 대책을 제시하고 나섰습니다. 어떤 대책이 더 옳은지는 제가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없습니다. 하지만 세계 1위, 글로벌 시장을 생각한다라고 하면서 우리가 아쉽게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이 있다. 바로 소프트웨어 접근성에 대한 고민입니다.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으면서 글로벌 1위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지난 WBS(World Best Software) 프로젝트에 바라는 점 – 초기부터 접근성에 관심을라는 블로깅에서 문제를 제기한 바 있지만, 여러 정황상 아직도 이에 대한 고민은 없는 것 같습니다. 지난 문제 제기에서는 전 세계 시장에서 장애인, 노인 등의 인구 분포 증가, 미국, 유럽연합 등 선진국 시장에서의 접근성 의무화 정책, 세계 최고의 소프트웨어 제품과 기업들의 사례에서 볼 때 접근성이 없이는 세계 1위 또는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저의 의견을 제시해 보았습니다.
접근성이라는 것이 장애인에게 가장 큰 혜택이 돌아가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준수할 경우에는 보다 많은 사용자들과 보다 많은 기술 환경에서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우리가 간과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글로벌, 세계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살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소프트웨어는 가급적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지 않고 어떻게 세계의 많은 고객을 확보할 수 있겠습니까 ?
또한 접근성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설계하게 되면 기계(Machine)간의 정보 교환 및 호환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장애인도 화면 낭독 프로그램(Screen reader) 등의 정보통신 보조기기라는 기계가 해석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바로 접근성이라는 것입니다. 기술은 어떻게 변화할 지 모릅니다. 장애인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기술이나 기계의 도움없이는 제대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기본이 튼튼하지 않고 어떻게 세계 1위를 하겠습니까? 불가능한 일입니다. “소프트웨어를 쓰는 사람이 다양하다”라는 간단한 문제도 생각하지 않고 1위를 하기란 어려운 것이지요. 지금이라도 늦지 않습니다. 장애인과 접근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정말 멋진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볼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접근성과는 관련이 없지만 저의 짧은 식견으로 감히 소프트웨어 육성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합니다. 첫째는 개발자에 대한 대우가 달라져야 할 것입니다. 개발자란 무엇인가를 새롭게 창조하시는 분들입니다. 창조에 대한 대가가 올바르게 매겨지고,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근무 환경을 개발자분들에게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개발자분들의 노력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전에 썻던 것, 남의 소스를 출처도 밝히지 않고 사용하는 등 구태 의연한 행동은 이제 그만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가장 기본이 되는 사항, 즉 국제적인 표준이나 문서 등에 대한 면밀한 학습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웹 개발자의 경우에도 W3C HTML 4.01의 세부 사항을 생각해 보시는 분이 그리 많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국제 표준과 친해져야하고, 남의 소스를 허가 없이 사용하는 문제점 인식 등의 윤리적인 강화 없이는 세계 1위는 멀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둘째는 정부와 언론 등이 함께 노력하여 스타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찾고 이 분들을 칭찬해 주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라는 창조가에게는 금전적인 것도 중요하겠지만, 비금전적인 요소가 더 클 수 있게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접근성을 확산 시킬려고 노력하다가, 한 여성 디자이너분에게 들었던 말이 생각납니다. 이게 정말 현실을 말하지 않는가 지금 다시 생각이 납니다.
“접근성을 하라고 하는 것은 제가 슈퍼 유먼이 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쁘고, 몸매도 좋고, 남편에게 잘 하고, 자녀에게 잘 하고, 시부모님에게 잘하고, 회사 생활도 잘 하고 등등”
이 분이 조금 잘 못 오해 하시고 있는 것도 있지만, 제 머리속에서 떠나지 않는 말입니다. 항상 개발자나 디자이너 분들이 현실적으로 느끼는 말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러한 것을 고치기 위해 기업, 정부, 개발자 들이 함께 노력하지 않으면 지금과 같은 경쟁 시대에서는 살아남기 힘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개발자 여러분 힘내시고 감사합니다. 접근성은 여러분에게 귀찮은 작업을 늘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보다 많은 사람과 환경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주는 손쉬운 해결책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 주시고, 오늘부터라도 하나씩 하나씩 고민해서 개발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