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장애인인권포럼에서 2007년 웹 접근성 사용자 평가 우수사이트 시상식을 개최하였다고 합니다.
* 관련기사 : 디지털타임스 장애인 웹 `문턱` 여전히 높다
웹 접근성 사용자 평가보다는 “장애인 웹 사용성 테스트”가 더 적절하지 않은가 생각됩니다만, 매년 실시하여 국내 웹 접근성 개선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평가 우수기관들을 알 수 없어, 평가를 해 보지는 못했습니다만, 작년의 평가 결과를 볼 때, 웹 접근성 관련 표준 준수도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점이 우려하는 바입니다. A기관에서 평가한 결과와 B기관에서 한 평가가 상충하여 어는 것이 웹 접근성 평가인지를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해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에 차이점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실시하는 웹 접근성 실태조사는 국내의 웹 접근성 표준인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평가합니다. 13개 지침의 26개 지표 51개 체크리스트에 대해 준수여부를 평가하고 있으며, 사이트별 5개 페이지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권포럼에서 실시하는 평가는 장애인이 실제로 웹 사이트의 가능여부를 평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의 표준 중 주요한 13개 항목만을 선정하여 평가하고 있습니다.
추후 인권포럼 평가항목이 제시되면 또 다른 의견을 제시하겠습니다.
근데 인권포럼부터 장애인을 위해서 웹 사이트를 수정해야 겠습니다. 대문에 대체 텍스트도 없는 것(아래 이미지안에 빨간 네모로 표시된 부문) 을 보면, 평가할 필요도 없을 것 같습니다.
장애인을 위한 단체가 먼저 솔선수범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