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갤럭시 등의 등장으로 모바일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모바일의 급속한 확산은 우리나라의 웹 생태계를 많이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화면의 제약, 통신 속도 등 모바일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은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표준에서 주장했던 논리와 유사점이 많이 있습니다.
현재 많은 곳에서 앞다투어 개발하는 모바일 웹 전용 페이지도, 스크린리더 등 보조기술이 발전하지 못했던 우리나라의 2000년도 초반에 장애인을 위해 개발되었던 ‘시각장애인 전용 페이지’와 매우 유사한 것 같습니다. One web의 관점에서 이는 많은 제약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별도 사이트 제공시 대표적인 문제가 콘텐츠 갱신 문제, 별도의 사이트 관리 비용, 기존 웹과는 다른 콘텐츠의 양(모바일 및 장애인 전용 페이지의 경우 콘텐츠가 동등하지 않았던 문제) 등일 것입니다. 아직 모바일 환경에서 기존의 웹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없다는 주장이 양립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기술적인 제약 등으로 발생했던 장애인 전용 페이지의 경험을 비추어 볼 때, 하루빨리 One Web으로 구축할 수 있는 모바일에 대해 고민하고 노력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W3C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AI: Web Accessibility Initiatives)에서 모바일 사용자와 장애인의 공통적인 애로점을 분석하여 ‘Table of Shared Web Experiences: Barriers Common to Mobile Device User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라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모바일과 접근성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데 좋은 문서라 생각하며, 이에 대해 주요한 부문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선 본 문서는 W3C의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과 모바일 웹 모범사례(MWBP 1.0: Mobile Web Best Practices 1.0, 2008년 12월 W3C 권고)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는 WCAG 2.0에서 사용하고 있는 4가지 원칙인 POUR(Perceivable, Operating, Understandable, Robust)을 기반으로 문서가 작성되었습니다.
이번에는 그 중에서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에 대한 지침들을 살펴보고, 추후에 운용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 견고성 등에 대해 추가적으로 작성해 볼 생각입니다.
- 1.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 1-1. 색상에 무관한 인식, 색상에만 의존하여 정보를 제공하지 말라.
- *장애인 사용자: 색각 이상자(Colorblind)에게 문제가 발생
- *모바일 환경: 많은 모바일 기기에서 색상이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색상의 차이를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
- *사용자 경험: 사용자가 색상을 잘 못 인식하거나 전혀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로 인해 정보를 잘 못 인식할 우려
- *웹 접근성 지침(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지침 3. 콘텐츠가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색상을 배제하더라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 1-2. 큰 페이지나 큰 이미지(Large pages or large image)
- *장애인 사용자: 시각에 다소 문제가 있는 사용자 또는 확대 프로그램(Magnification)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페이지나 이미지의 특정부문만을 인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모바일 환경: 기존 컴퓨터와 달리 모바일 기기에서는 화면이 작아지는 문제
- *사용자 경험: 화면 확대나 또는 조그마한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가로 및 세로 스크롤이 과도하게 생기는 페이지나 큰 이미지의 경우 특정 부분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
- *웹 접근성 지침(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국내의 지침에서는 특별히 규정하지 않고 있음. 중요도 2, 중요도 3 요소라 국내의 국가표준에서는 지침으로 규정하지 않았지만, 웹 접근성이 높은 웹 사이트 제공을 위해 고민하는 것이 바람직
WCAG 1.0: Divide large blocks of information into more manageable groups where natural and appropriate. [Priority 2]
WCAG 2.0: For the visual presentation of blocks of text, a mechanism is available to achieve the following: (Level AAA)
- *MWBP 1.0: 5.3.2 Page Size
[PAGE_SIZE_USABLE] Divide pages into usable but limited size portions.
[PAGE_SIZE_LIMIT] Ensure that the overall size of page is appropriate to the memory limitations of the device.
5.3.3 Scrolling
[SCROLLING] Limit scrolling to one direction, unless secondary scrolling cannot be avoided.
초기의 웹 환경처럼 모바일에서는 통신의 속도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통신 환경이 좋지 않은 것 까지 고민해서 큰 페이지나 큰 이미지들을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 1-3. 캡션이 제공되지 않는 멀티미디어
- *장애인 사용자: 청각 장애인
- *모바일 환경: 공공의 장소(기차, 호텔 로비 등)에서 모바일 기기에서의 음성을 사용하지 않거나(진동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또는 시쓰러운 환경에서 소리를 들을 수 없을 경우(거리, 나이트클럽 등). 청각장애인이 아니더라도 지하철, 버스안, 철도역, 공항, 백화점 등 시끄러운 환경에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사실 저는 목욕을 좋아해서 목욕탕에서 사람 찾는 안내 방송이 잘 안들리다는 것을 사례로 많은 듭니다만, W3C에서 나이트클럽까지 고려하고 있네요.
- *사용자 경험: 사용자가 청각 정보를 얻지 못하는 문제 발생
- *웹 접근성 지침(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지침 2.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 매체는 해당 콘텐츠와 동기되는 대체 매체를 제공해야 한다.
- *MWBP 1.0: 5.4.5 Non-Text Items
[NON-TEXT_ALTERNATIVES] Provide a text equivalent for every non-text element.
- 1-4. 중요한 경고, 에러 등의 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음성 전용(Audio-only) 콘텐츠
경고, 에러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환경과 사람을 잘 고민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 가지의 감각만을 통해 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은 특정 사람과 특정 환경에서 인식할 수 없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장애인 사용자: 청각장애인
- *모바일 환경: 공공의 장소(기차, 호텔 로비 등)에서 모바일 기기에서의 음성을 사용하지 않거나(진동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또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소리를 들을 수 없을 경우(거리, 나이트클럽 등). 청각장애인이 아니더라도 지하철, 버스안, 철도역, 공항, 백화점 등 시끄러운 환경에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사용자 경험: 사용자가 음성으로만 의존하여 제공된 콘텐츠로 인해 실수를 유발할 수 있음
- *웹 접근성 지침(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지침 2.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 매체는 해당 콘텐츠와 동기되는 대체 매체를 제공해야 한다.
- *MWBP 1.0: 5.4.5 Non-Text Items
[NON-TEXT_ALTERNATIVES] Provide a text equivalent for every non-text element.
- 1-5. 텍스트 대체 수단이 없는 텍스트 아닌 콘텐츠(Non-text Contents, 이미지, 음향, 비디오 등)
- *장애인 사용자: 시각장애인 & 특정 브라우저, 보조기기 또는 기타 사용자 도구(User Agent)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텍스트 아닌 콘텐츠의 정보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
- *모바일 환경: 다운로드 용량에 따라 돈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 이미지를 끄고 사용하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텍스트 아닌 콘텐츠와 이미지의 크기를 모바일 기기 화면 크기에 따라 변화시킬 경우 문제가 발생
- *사용자 경험: 대체 수단 미제공으로 사용자가 중요한 정보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음
- *웹 접근성 지침(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지침 1.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non-text contents) 중에서 글로 표현될 수 있는 모든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가 가지는 의미나 기능을 동일하게 갖추고 있는 텍스트 모드로 표시되어 있어야 한다.
- *MWBP 1.0: 5.4.5 Non-Text Items
[NON-TEXT_ALTERNATIVES] Provide a text equivalent for every non-text element.
[OBJECTS_OR_SCRIPT] Do not rely on embedded objects or script.
- 1-6. 텍스트 입력
- *장애인 사용자: 지체장애인(주로 상지장애인), 뇌병변 장애인 등 텍스트 입력이 어려운 사용자
- *모바일 환경: PC 환경의 키보드와 달리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되는 적은 크기의 키패드로 입력의 어려움이 발생
- *사용자 경험: 텍스트 입력의 어려움이 발생하여 텍스트 입력이 부정확해지거나 실수가 발생함
- *웹 접근성 지침(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국내 국가표준과 WCAG 1.0에서는 검토하지 않았던 이슈로, 국내에서도 2.0 표준에서는 해당 지침을 포함할 예정임
WCAG 2.0: Guideline 3.3: Help users avoid and correct mistakes.
- 1-7. 테이블과 CSS를 사용하여 문서 표현을 제공하였으나, 선형화(Linearized) 시켰을 때 문서 순서(Reading order)가 잘못된 경우
- *장애인 사용자: 시각장애인
- *모바일 환경: 모바일 기기에 적합하게 문서 표현을 재포맷하거나 재구축하는 경우, 콘텐츠의 의미가 변화할 수 있음
- *사용자 경험: 선형화하여 볼 경우 사용자가 정확하게 해당 콘텐츠를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함
- *웹 접근성 지침(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지침 11. 콘텐츠의 모양이나 배치는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여야 한다.
WCAG 2.0: 1.3.2 Meaningful Sequence: When the sequence in which content is presented affects its meaning, a correct reading sequence can be programmatically determined. (Level A)
- *MWBP 1.0: 5.4.4 Tables
[TABLES_NESTED] Do not use nested tables.
[TABLES_LAYOUT] Do not use tables for layout.
[TABLES_ALTERNATIVES] Where possible, use an alternative to tabular presentation.
- 1-8. CSS만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 *장애인 사용자: 시각장애인이 CSS만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 발생
- *모바일 환경: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CSS를 지원하지 않거나 다르게 해석할 경우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 발생
- *사용자 경험: CSS는 표현의 요소로 화면낭독 프로그램 등 보조기기에서 구조적인 문서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함. 표현(Structure)와 표현(Presentation)을 분리해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CSS는 페이지내의 표현 방법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웹 접근성 지침(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지침 11. 콘텐츠의 모양이나 배치는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여야 한다.
WCAG 1.0: 6.1 Organize documents so they may be read without style sheets. For example, when an HTML document is rendered without associated style sheets, it must still be possible to read the document. [Priority 1] (Checkpoint 6.1)
WCAG 2.0: 1.3.1 Information, structure, and relationships conveyed through presentation can be programmatically determined or are available in text. (Level A)
- *MWBP 1.0: 5.4.9 Style Sheets
[STYLE_SHEETS_SUPPORT] Organize documents so that if necessary they may be read without style she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