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ds:
댓글

Posts Tagged ‘전자신문 반박’

2009년 8월 전자신문에서 헛갈리는 IT용어 “정리해 주세요”라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2008년 10월 16일자 전자신문에 ‘장애인 위한 웹 접근성 품질마크제도 – 장애인 정보소통 힘들게 한다’라는 기사 이후 같은 기자님께서 또 문제를 제기해 주셨습니다. 이에 대해 제가 반박한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웹 접근성이 장애인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제가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이 번 기사는 지난 2008년 10월 16일자 기사와는 달리 조금 납득할 수 있는 부문도 있습니다. 요즘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웹 접근성, 웹 표준, 웹 상호운용성, 브라우저 호환성, ActiveX 제거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다 보니 많은 고민없이 비슷비슷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몇 가지 부문은 제가 납득이 가지 않아, 제 나름대로 헛갈리는 IT용어를 정리해 보았으며, 기사의 문제점들을 제시할려고 합니다. 동 용어는 정찬명님, 신현석님과 함께 정의해 보았습니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웹 접근성과 웹 호환성이 혼동돼 사용되는 데다 장애인 웹 접근성의 개념도 명확하지 않다. 또 서로 다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액티브X와 웹 표준도 뒤죽박죽돼 사용되는 상황이다.

앞에서도 밝혔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다소 혼동되게 사용하는 것이 사실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를 정확히 알고 표현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명확하지 않다고 말씀하신 관련 업계가 정확히 어디인지는 모르겠지만, 생각을 정리하여 정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정의: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웹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것

웹 접근성이란 장애인에게 가장 초점이 맞추어진 것입니다. 이와 같은 정의는 W3C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AI: Web Accessibility Initiative)의 정의, 위키피디아, 영국 PAS 78,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정보통신 용어사전의 정의 등에 명확히 제공되고 있습니다.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의 정의: 장애인이 웹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함(Web accessibility means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use the Web)

위키피디아 정의: 장애인 및 비장애인 모두가 웹 사이트를 사용하기 편리하게 만드는 방법을 말함

다만 웹 접근성을 광의적으로 해석할 경우, 상호운용성의 개념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웹 상호운용성(Web Interoperability): 브라우저와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웹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웹 호환성(Compatability)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음

웹 상호운용성은 웹을 이용할 때 사용하는 브라우저와 운영체제와 관련된 문제입니다. 이는 기기적인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입니다.

위키피디아의 정의: 2개 또는 더 많은 시스템과 콤포넌트에서 정보를 교환하거나 교환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함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 용어사전 : 같은 기종 또는 다른 기종의 기기끼리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고, 정보 교환이나 일련의 처리를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

    웹 표준(Web Standards): 웹 접근성, 웹 상호운용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W3C, ISO, IETF 등 웹 관련 표준화 기구의 기술 명세

웹 표준이라 말 그대로 웹을 만들때 서로 지키자는 규약입니다. 웹 접근성과 웹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을 말하는 것입니다. 수단과 목표를 잘 못 혼용해서 사용하지 않아야 하나, 수단과 목표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ActiveX: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에만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 인을 말함

ActiveX의 사용은 웹 상호운용성을 해치는 것이나, 이를 웹 접근성과 웹 표준으로 잘 못 오해하는 경향이 있음

다음으로는 웹 접근성, 웹 상호운용성, 웹 표준간의 차이점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1-1) 웹 접근성과 웹 상호운용성의 차이점

○ 웹 접근성은 장애인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웹 상호운용성은 사람이 아닌 기술적 환경에 초점이 맞추어짐

1-2) 웹 접근성과 웹 표준의 차이점

○ 웹 표준은 기술적 명세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웹 접근성은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웹 접근에 초점이 맞추어짐

– 웹 표준을 준수한다고 접근성이 모두 보장되는 것은 아니지만, 웹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

1-3) 웹 상호운용성과 웹 표준의 차이점

○ 웹 표준은 기술적 명세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웹 상호운용성은 기술적인 환경을 고려한 웹의 이용가능성에 초점이 맞추어짐

– 웹 표준을 준수한다고 웹 상호운용성이 모두 보장되는 것은 아니지만, 웹 상호운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

이와 같이 웹 접근성, 웹 상호운용성, 웹 표준, ActiveX가 혼용되는 이유로 생각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ActiveX에 의존하여 부분별하게 사용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웹 접근성, 웹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ActiveX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하는 것 때문에 이러한 단어들을 함께 통용해서 사용한 것으로 짐작됩니다.

웹 접근성은 웹 호환성과 가장 혼동돼 사용되고 있으며 장애인 웹 접근성도 스크린리더 사용가능성 정도로 대치되고 있다.(중략) 장애인 웹 접근성 역시 시각장애인도 인터넷 사이트를 볼 수 있다는 뜻으로 통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 기관의 웹 접근성 사업 완성도 테스트는 스크린리더를 사용한 후 제대로 작동하는지로 이뤄진다. 하지만 스크린리더를 갖고 있지 않은 시각장애인이 태반인데다 상지장애인이나 지각장애인 등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중략) 신승은 오픈데이타컨설팅 사장은 “멀티브라우저 지원과 웹 접근성이 혼용되기도 하고, 스크린리더 사용가능성과 웹 접근성이 같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무엇보다 정확한 기준과 해설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웹 접근성에 대한 오해가 정말 나타나는 기사 대목입니다. 정말 이런 기사가 나타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웹 접근성을 스크린리더 가능성으로 오해하는 것은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조차 제대로 읽지 않은 결과인 것 같습니다. 요즘 중국의 역사책인 사기를 일고 있는데, 거기에 멋진 말이 나옵니다. 이식(耳食)이라는 고사성어 인데요, 귀로 밥을 먹는다는 것입니다. 밥은 입으로 먹는 것인데, 귀로 듣고 먹을 수는 없다는 것이지요. 웹 표준, 웹 접근성 등도 정확한 규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데, 잘못된 정보를 단지 귀로 듣고 이를 전부다 이해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은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먼저 전자신문에서도 웹 접근성에 대해서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2008년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3회에 걸쳐 실린전자신문 웹 접근성 기획기사를 보면 웹 접근성이 스크린리더 가능성이 아니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에게 가장 혜택이 돌아가는 것은 사실이지만, 청각, 지체, 뇌병변, 색각이상자, 광과민성 발작증세 등의 장애인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웹 접근성, 특히 웹 콘텐츠 접근성 주요 지침만을 살펴보아도 이러한 사실이 잘못이라는 것을 쉽게 아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아닌 콘텐츠의 인식

: 이미지 등 텍스트 아닌 콘텐츠에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스크린리더 사용자 뿐만 아니라 이미지 검색을 하는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됩니다. 또한 저사양 컴퓨터나 속도가 느린 환경에서 이미지를 생략하고 웹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영상매체의 인식

: 동영상에 대한 자막, 원고 또는 수화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청각장애인이 주 대상이 됩니다. 해당 국가의 언어를 모르거나 시끄럽거나 조용한 환경에서도 동영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며, 동영상 검색에도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색상에 무관한 인식

: 색에 관계없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이는 색각이상자(색맹 포함)에게 도움이 되며, 흑백 모니터 및 흑백 프린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

    깜빡거림 방지

: 웹 콘텐츠에서 깜빡거리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제공하라는 것으로, 이를 통해 광과민성 발작증세 등의 사람들에게 깜박임으로 인해 불편함을 없애주는 것이다.

    키보드 이용보장

: 키보드만으로도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이를 통해 지체 장애인(상지장애 등), 시각장애인, 뇌병변 장애인 등이 웹을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반응시간 조절

: 실시간 이벤트나 제한된 시간내에 수행하여야 하는 활동 등을 사용자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읽거나, 상호작용을 하거나 응답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지체 장애인, 뇌병변, 시각장애인, 지적 장애인 등 특정 시간내에 반응하기 어려운 장애인들에게 도움이 된다.

스크린리더를 갖고 있지 않는 시각장애인 태반이다. 사실입니다. 왜냐면 스크린리더 없이도 확대(프로그램 또는 돋보기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약시가 시각장애인의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스크린리더 가능성이 아니라 위에 제시한 것처럼 범용적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웹 콘텐츠 접근성 표준을 제정한 것입니다. 장애인이 자신의 방법을 선택하여 자신의 웹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웹 접근성입니다.

제발 다시는 스크린리더 가능성이라고 말씀하지 말아주세요. 아니면 웹 접근성이 장애인에게 도움이 되지 않다든지. 이는 정말 웹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조그마한 노력을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받아드리기가 정말 힙듭니다.

지각장애인이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지적 장애인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한국지적장애인복지협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적 장애인 부문은 모두다가 고민하는 문제입니다. 지적 장애가 심할 경우에는 지금의 기사도 이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쉬운 용어를 웹 콘텐츠 제작시 사용해야 하며, 이모티콘 이나 이미지 등을 적절히 활용하고 콘텐츠간의 구분이 잘 가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는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매우 어려운 요소임으로, 이에 규정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스크린리더 가능성이라고 웹 접근성 지침을 폄하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으며, 웹 접근성이 장애인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은 정말 다시는 말씀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귀로 음식을 먹지 말고, 입으로 음식을 먹는 우리나라의 웹 풍토를 기대해 봅니다.

우리모두 웹 관련 표준을 한 번이라도 정독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광고

Read Full Po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