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ds:
댓글

Posts Tagged ‘제이콥닐슨’

2007년 3월 15일자 CIO 잡지에 실린 웹 사용성 대가 Jakob Nielson의 인터뷰 기사입니다.

그가 말하는 좋은 웹 디자인은 간단하고 명료한 사이트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그가 제시한 “Less is more”라는 단어를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 단어는 디자인, 마케팅 등 다양한 곳에서 많이 이야기 되는 단어로, 핵심(Core)를 찾아 이에 집중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라는 것이다.

우리가 손쉽게 잘못하는 것으로, 마치 많은 것을 해 주면 해 줄수록 고객이 기뻐할 것(핸드폰의 다양한 기능, 리모트 콘트롤의 다양한 기능, 단계가 복잡한 웹 사이트 회원가입 및 결재, 많은 응답이 필요한 설문지 등)이라고 착각하지만, 고객에게 정말로 필요한 몇 가지만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디자인이야 말로 아름다운 것일 것이다. 적지만 고객(방문자)가 원하는 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아름다운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Jakob Nielson이 사용성 컨설팅을 느낀(배운) 5가지 주요 사항을 살펴보면,

1) 사용자와 개발자간의 차이점을 파악하라 !!

기술자, 웹 개발자들이 생각하는 손쉬운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생각하는 손쉬운 인터페이스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사용자의 대부분은 웹 개발자, 웹 관련 종사자처럼 새로운 것에 익숙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웹 사이트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 테스트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음

2) B2B 사이트가 B2C 사이트보다 더 나쁜 사용성을 가지고 있음

우리가 처한 현실도 비슷한데, 내부 직원용 인트라넷(그룹웨어, 지식관리시스템 등) 보다는 외부의 웹 사이트 등에 보다 사용성 관점을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내부의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부문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Web 2.0 등 새로운 기술환경 보다는 고객에 보다 신경을 써라 !

우리는 새로운 용어, 새로운 기술 등에 현혹되기 쉽다. 마치 새로운 것을 하지 않으면 뒤쳐지거나 실패한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것보다는 원칙, 근본을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근본적인 것은 고객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Web 2.0에서 나타나나는 RSS, BLOG, UCC 등이 정말 사용자들을 편리하게 하는지를 곰곰히 생각해 볼 시점이 아닌지??

4) 통합되는 기능을 손쉽게 제공하자

NTT 도코모의 iPhone처럼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나타나야 할 것이다. 이는 처음 말한 “Less is more”라는 단어와 상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핵심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패러다임인 “A or B”가 아니라 “A and B”로 생각을 바꾸어야 할 것이다. 즉, 간단함과 다양한 기능을 서로 잘 융합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5) 너무 복잡한 것은 사용자를 불편하고 짜증나게 만든다 !!

사람들이 사용하는 리모트 콘트롤을 살펴보면 이를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Jabkob Nielson이 사용했던 리모트 콘트롤의 기능이 무려 239개로 이루어 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 정말 바람직한 것일까? 사용자를 배려한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고객의 입장에서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웹 인터페이스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광고

Read Full Po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