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ds:
댓글

Posts Tagged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8년 4월 8일 한국정보문화진흥원마이크로소프트간의 “접근성 랩” 설치를 위한 MOU 체결식이 개최되었습니다.

한�정보문화진흥원과 마이크로소프트 MOU 체결식

본 MOU를 통해 앞으로 접근성 관련 기술개발, 인식개선 등 다양한 활동을 상호 협력하에 추진할 것입니다.

본 연구소는 미국이외에는 처음으로 설립된 것임을 알려 드립니다. 미국에는 접근성 랩이 많이 있습니다.

국내의 접근성 제고 활동에 큰 활력소가 되기를 바랍니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 보도자료

한국정보문화진흥원 – 마이크로소프트와 MOU 체결
–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 IT분야 접근성 향상을 위한‘접근성 랩’ 설립 –

한국정보문화진흥원(원장 : 손연기, http://www.kado.or.kr)은 한국마이크로소프트(사장 : 유재성, http://www.microsoft.com/korea)와 4월 8일 서울 등촌동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접근성 랩’의 국내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접근성 랩’이 미국 이외 지역에 설치되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이 자리에는 방한 중인 마이크로소프트 최고운영책임자(COO) 케빈 터너(Kevin Turner) 사장도 참석했다.

‘접근성 랩’은 장애인, 어르신,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정보 활용을 위해 IT 접근성 솔루션을 개발하고 지원하는 곳으로, 한국정보문화진흥원과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접근성 랩’ 설치를 계기로 IT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보공유 및 공동 프로젝트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과 관련하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손연기 원장은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다양한 경험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첨단 기술이 만난데 의미가 있다”면서, “접근성 랩을 통해 우리나라 IT 분야 보조공학 관련 산업 발전은 물론 지구촌 정보격차를 해소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마이크로소프트 케빈 터너(Kevin Turner) 사장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마이크로소프트의 글로벌 상생과 협업을 통한 기술 혁신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 전제하고 “한국의 지식 경제 성장과 발전을 돕는 파트너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유재성 사장 또한 “접근성 랩의 국내 설치는 세계 IT산업을 선도하는 한국에서 성공한 접근성 모델은 세계적으로도 적용 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을 파트너로 선택한 것은 정보격차 및 접근성에 대한 전문성 때문”이라고 말했다.

광고

Read Full Post »

2007년말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 농어민의 인터넷 및 컴퓨터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국내 인터넷 관련 통계자료는 한국정보문화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등에서 발표되고 있습니다.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조사는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발표하는 것이 통계청에서 인정해 주는 정부 공식통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행정안전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요약

행정안전부(장관 원세훈)는 ‘07년9월~12월까지 전국의 일반국민 및 정보소외계층* 총 15,000명을 대상으로「2007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보소외계층의 정보화수준이 일반국민 대비 ’06년 62.0%에서 ‘07년 65.9%으로 전년 대비 3.9%p 개선되었으며, 처음 실태조사를 실시한 ’04년에 비해서는 20.9%p 개선되어 정보격차가 지속적으로 완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 “정보소외계층”은 장애인, 저소득, 장노년, 농어민 등을 말함
※ 정보격차지수(‘07년 34.1점) = { 일반국민 정보화수준(100) – 일반국민대비 정보소외계층 정보화수준(’07년 65.9) }

연도별 정보격차 추이

2007년 정보격차지수 관련 요약 보고서

Read Full Post »

현재 우리나라 공공기관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그룹웨어는 핸디소프트 입니다.

문서의 기안, 직원과의 협업 등 이제 그룹웨어 없이는 회사생활을 할 수 없게 된 실정입니다.

이러한 그룹웨어를 장애인들은 현재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한국정보문화진흥원과 핸디소프트가 상호협력을 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장애인도 장애에 구애없이 그룹웨어 등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핸디소프트(www.handysoft.co.kr 대표 황의관)는 한국정보문화진흥원(www.kado.or.kr 원장 손연기)와 장애인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상호 협력ㆍ증진을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두 기관은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장애인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연구 ▲웹 및 정보통신 접근성 표준화 ▲정보통신 접근성 인식제고 ▲미국IT 조달시장 진출방안 연구 ▲사랑의 PC 수집ㆍ보급을 위한 현장 경험과 지식 공유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핸디소프트 황의관 사장은 “국내 대표적인 SW기업으로서 장애인의 정보시스템 활용을 보장하기 위해 접근성 지침을 준수할 계획” 라며 “국내 전문 SW개발업체로서는 처음으로 웹접근성에 대해 한국정보문화진흥원과 협력을 맺고 도입을 하는 만큼, 선도 기업으로서 웹접근성에 대한 표준화에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 홍경순 팀장은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그룹웨어, 문서관리시스템(EDMS), 업무프로세스관리(BPM) 등을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겠다”면서 “향후 장애인의 정보격차를 사전에 예방함은 물론 고용 개선에도 큰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양 기관은 올해 내에 장애인의 그룹웨어 이용 애로점 파악, 인식제고를 위한 세미나 공동 개최, 표준화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SW로 따뜻한 세상 만들어요”…사회공헌하는 SW업체들

Read Full Po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