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에서 웹 접근성과 관련된 재미있는 기사가 2009년 12월 15일에 실렸습니다. 웹 접근성 더 이상 추가적인 것이 아니다(Web accessibility no longer an afterthought)라는 제목의 기사입니다.
기사 중 생각을 하게 하는 문구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1. 웹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
표준화 기구, 전도사, 법적 의무화 등의 노력으로 웹 접근성에 대한 인식 및 참여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이제 전 세계적으로 웹 접근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라는 것이며, 웹 접근성과 관련된 기업 활동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We’re seeing a lot more awareness and involvement in Web accessibility than we did a few years ago, particularly among big companies,” said Judy Brewer, director of the Web Accessibility Initiative (WAI) at the World Wide Web Consortium. “It’s becoming a solid business expectation that Web sites need to meet the needs of all users.”
- 2. 야후와 구글의 접근성 제고 노력
야후에서는 신입 직원에게 필수적으로 웹 접근성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한다고 합니다. 정말 우리나라의 IT 기업들도 신입직원 교육에 접근성이 조금이라도 반영되는 기업들이 늘어나기를 기원합니다.
구글은 유투브에 자막을 제공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권유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입니다. 본 기사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지만 구글에서는 음성 인식과 자동 번역 기술을 통해 동영상에서 나오는 음성을 자막으로 자동으로 변환시켜주며, 이를 다양한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아직 완전 무결한 서비스는 아니지만, 청각 장애인, 외국어에 능통하지 않은 사람, 조용하거나 시끄러운 환경에 있는 사람 등에게는 정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Yahoo requires every new hire to receive accessibility training from Tsaran and Alan Brightman, senior policy director of special communities. And it books engineering teams for tours of their Accessibility Lab.
Google recently rolled out a service that will let YouTube users add captions to their videos, and believes that as the Web moves more from an era of presentation to an era of two-way “data-driven” communication, accessibility becomes even more important, said Jonas Klink, accessibility program manager.The automatic captioning technology is being rolled out first on YouTube’s Educational channel, allowing deaf or hearing-impaired people to take advantage of distance learning programs or other educational systems.
- 3. 웹 접근성의 도전 및 위협요소
웹이 더욱 더 동적인 요소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접근성 제고를 위해서는 더욱 더 다양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웹 접근성 지침의 단순한 암기나 준수여부가 중요한 것보다는 어떤 이유에서 이러한 지침이 발생했는지, 나와 다른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는 등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웹을 쓰는 환경을 고민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As the Web gets more and more dynamic, the accessibility requirements get more and more interesting, and sometimes challenging, to implement,” Brewer said.
- 4. 웹 접근성은 큰 시장을 창출한다.
미국의 경우 장애인이 6천만명에 이르며, 접근성 관련 시장이 2,2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웹 접근성은 기업들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잘 고민하지 않고 있지만, 조만간 나아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새로운 블루오션인 접근성에 관심을 가져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There are about 60 million people in the U.S. who can’t use a computer to get on the Internet in the normal fashion, said Yahoo’s Brightman.
But these are businesses, after all: Yahoo’s Brightman estimated that there’s about $220 billion in discretionary spending available to disabled people. Making a Web site accessible to as many people as possible isn’t just the right thing to do, it also makes business sense, he said.
‘어느 누군가 사용할 수 없으면, 서비스하지 않는다’라는 웹 사이트가 우리나라에도 많아 지기를 기원합니다.
“Anybody should be able to use anything on this page,” said Yahoo’s Zakas, keeper of the all-important Yahoo.com page. “If anybody can’t use it, it shouldn’t be t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