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돌이가 생각하는 웹 접근성 및 IT의 변화 방향
-
글 목록
- 2015년 4월 (1)
- 2015년 2월 (1)
- 2012년 12월 (1)
- 2012년 11월 (1)
- 2012년 8월 (1)
- 2012년 4월 (2)
- 2012년 3월 (1)
- 2012년 1월 (1)
- 2011년 12월 (2)
- 2011년 10월 (1)
- 2011년 9월 (4)
- 2011년 8월 (1)
- 2011년 7월 (1)
- 2011년 4월 (1)
- 2011년 3월 (1)
- 2011년 1월 (1)
- 2010년 12월 (2)
- 2010년 11월 (1)
- 2010년 10월 (2)
- 2010년 8월 (5)
- 2010년 7월 (3)
- 2010년 6월 (2)
- 2010년 5월 (4)
- 2010년 4월 (6)
- 2010년 3월 (2)
- 2010년 2월 (1)
- 2010년 1월 (5)
- 2009년 12월 (9)
- 2009년 11월 (2)
- 2009년 10월 (4)
- 2009년 9월 (3)
- 2009년 8월 (1)
- 2009년 7월 (2)
- 2009년 6월 (1)
- 2009년 5월 (1)
- 2009년 4월 (1)
- 2009년 3월 (4)
- 2009년 2월 (1)
- 2009년 1월 (3)
- 2008년 12월 (2)
- 2008년 11월 (3)
- 2008년 10월 (7)
- 2008년 9월 (5)
- 2008년 8월 (3)
- 2008년 7월 (5)
- 2008년 6월 (3)
- 2008년 5월 (6)
- 2008년 4월 (12)
- 2008년 3월 (8)
- 2008년 2월 (5)
- 2008년 1월 (3)
- 2007년 12월 (1)
- 2007년 9월 (1)
- 2007년 8월 (2)
- 2007년 7월 (1)
- 2007년 5월 (2)
- 2007년 4월 (2)
- 2007년 3월 (3)
- 2007년 2월 (5)
- 2007년 1월 (3)
- 2006년 11월 (2)
- 2006년 10월 (1)
- 2006년 9월 (2)
-
카테고리
-
페이지
^^*
www2009에서 무사 귀국하셨는지요?
저희도 무사히(!) 도착해서, 업무 진행중이랍니다.
-소매치기도 당할 뻔하고, 기차역에서 고생도 좀 했습니다.
사이트가 무척 알찹니다.
따뜻한 봄날 잘 즐기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언제 이런 블로그를 운영하셨나여
ㅋㅋㅋㅋ
좋은 자료 감솨합니다
저 정철훈입니다 ㅋㅋㅋ
안녕하세요.
저는 한 research 업체에서 모바일관련 research를 담당하고 있는 김수희입니다.
현재 장애인의 mobile accessibility관련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블로그를 통해 좋은 내용들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괜찮으시다면 다음 주(2/21 이후)에 저희와 약 한시간 가량 interview를 진행하실 수 있으신지요. 답변은 위의 suheekimgloria@daum.net으로 주시면 좀 더 자세한 내용 전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선생님 덕분에 많은 것을 새로 배우고 공부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정보통신분야의 소외계층이라고 하면 노령층, 장애인, 저소득층, 농어촌 거주민 등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실제로 신체적/정신적 제약으로 접근이 어려운 분들은 노령층과 장애인층이 아닌가 판단됩니다.
현재는 장애인을 중점적으로 정리하신 자료들이 많은데 노령층은 접근 장애는 어떻게 진단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관련 정보도 살짝 기다려 봅니다.
감사합니다.
전 윤우 선생님께
고령층의 정보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관련한 몇 가지 자료를 알려 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W3C WAI 에서 고령층 접근과 관련하여 제공하는 정보
http://www.w3.org/WAI/older-users/Overview.php
2) Jakob Nielson
http://www.nngroup.com/reports/seniors/
Web Usability for Senior Citizens:
46 Design Guidelines Based on Usability Studies with People Age 65 and Older
http://www.useit.com/alertbox/seniors.html
3) 미국 NIH(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Making Your Web Site Senior Friendly http://www.nlm.nih.gov/pubs/checklist.pdf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mobile accessibility 태스크를 진행중인 1인입니다.
한번 만나뵙고 조언도 구하고, 적용도 해보려 하는데,
연락부탁드릴께요.
godghr97@naver.com
안녕하세요!
아이푸른 대표 한준환입니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머지않아, 선택이 아닌 기본적인 필수 사항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장애인들을 위한 app은 선생님께서 게시한 글들에도 많이 언급되었듯이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창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사항들중에 우선 첫번째의 프로젝트로 시각장애우들의 여가생활을 위하고 일반인과 차별없이 할수있는 모바일게임커뮤니티를 성남시의 창업지원을 받아 인큐베이팅을 하고 있습니다.
지원에 대한 일부사항으로 사회투자지원재단에서 저희 프로젝트에 도움주실분으로 저희가 요청한 분을 전문멘토로 섭외를 해 주시는데… 저희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을 좀 드리고 모바일app에 대한 접근성에 대해 조언을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선생님의 연락처를 알수가 없어, 이공간을 빌어 부탁을 드립니다.
휴대폰 번호는 공일칠-칠오이-사사팔칠이며 이메일 주소는 입력해 놓겠습니다.
꼭, 좀 연락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준환 선생님께, 답변을 메일로 보내 드렸습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몇가지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 금일(2월 28일) 세미나 참석 중인데 노석준 교수께서 해당 내용을 준수하지 않으면 기관장 단체장 뿐만 아니라 작업자도 잡혀간다고 협박 아닌 협박을 하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4월 12일날 입사했는데 4월 10일까지 근무한 전임자가 전혀 접근성 고려 작업을 해놓지 않았다고 칩시다. 이럴 경우 4월 11일부터 시행되는 법률에 대한 책임은 누가 져야 하나요? 지금 제가 날짜만 다르지 얘기한 내용과 똑같은 상황에 빠져있습니다.
2. 웹접근성을 고려한 작업으로 비장애인이 누릴 수 있는 기술적인 역차별은 어찌 생각하시는지요.
3. 그리고 굳이 웹이 아닌 다른 수단으로도 장애인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그걸 굳이 웹으로 얻겠다고 억지아닌 억지를 부리는 경우는 어떻게 판단하실건지요? 예를 들어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 항공에서 항공권 하나 구하려고 하는데 웹이 용의치 않으면 전화로도 얼마든지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을 얻을 수 있지만 굳이 웹으로 해서 안된다라는 걸 강조하려는 그런 부분을 말하는 것이죠.
4. 국외 업체는 어떻게 하실건가요? 특히 페북이나 트위터 같이 국내에 법인이 없는 경우는 더더욱 말이죠.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5. 그리고 한가지 더 여쭙니다. 동영상 사이트의 경우는 동영상에 대한 자막 제공에 대한 책임까지도 웹 개발자가 져야하는건지요.